My AI Smarteasy – 사용자 정의 AI 에이전트 – 일타 저스틴 – 나만의 AI 비서 만들기?
혹시 나만의 똑똑한 AI 비서를 만들어보는 상상, 해보셨나요? 영화처럼 말도 하고, 그림도 보고, 어려운 일도 척척 해내는 그런 비서 말이에요. 오늘은 ‘AI 에이전트’를 처음부터 만드는 방법을 중학생도 이해할 수 있게 차근차근 알려드릴게요. 생각보다 어렵지 않거든요!
🏗️ 1단계: AI의 역할과 규칙 정하기
가장 먼저 할 일은 AI에게 어떤 역할을 줄지 정하는 거예요. 이건 마치 새로운 팀원을 뽑을 때 어떤 일을 시킬지 정하는 것과 같아요.
예를 들어, ‘엑스레이 사진을 보고 의사 선생님을 도와주는 AI’를 만든다고 상상해볼까요? 그럼 이 AI는 누구를 돕고(의사), 무엇을 하고(엑스레이 판독), 어떤 결과물을 내놓을지(판독 요약 보고서) 명확하게 정해야 하는 거죠.
그리고 AI가 알아들을 수 있도록 명령어(입력)와 결과물(출력)의 형식을 약속해야 해요. 식당에서 주문서에 메뉴를 정확히 적어야 음식이 제대로 나오는 것처럼, AI에게도 체계적인 양식이 필요한 거예요. 이걸 전문 용어로는 ‘Pydantic’이나 ‘JSON 스키마’를 사용한다고 한답니다.
🧠 2단계: AI에게 생각과 기억 능력 주기
이제 AI를 똑똑하게 만들 차례예요. 바로 ‘생각하는 방법’과 ‘도구를 쓰는 법’을 알려주는 거죠.
‘ReAct’나 ‘생각의 사슬(Chain-of-Thought)’ 같은 기술은 AI가 단순히 답만 내놓는 게 아니라, 정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스스로 생각하게 만들어요. 마치 수학 문제를 풀 때 풀이 과정을 쭉 쓰는 것과 같다고 생각하면 쉬워요.
여기에 웹 검색이나 문서 찾기 같은 도구를 쥐여주면 AI는 훨씬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게 됩니다. 그리고 ‘메모리(기억)’ 기능도 중요해요. 방금 나눈 대화를 기억하게 하거나, 중요한 정보를 따로 저장해두는 거죠. AI에게 단기 기억뿐만 아니라 장기 기억을 위한 두뇌를 만들어주는 거예요.
🚀 3단계: 팀플레이와 오감(五感) 장착하기
혼자서 모든 걸 해결하기 힘들 땐 팀을 만드는 게 좋겠죠? AI도 마찬가지예요.
더 복잡한 임무를 위해 여러 AI 에이전트가 팀을 이뤄서 일하게 만들 수 있거든요. 예를 들어, ‘계획하는 AI’, ‘조사하는 AI’, ‘보고서를 쓰는 AI’가 각자 역할을 나눠서 협업하는 거예요. 이걸 ‘다중 에이전트(Multi-agent)‘ 시스템이라고 부른답니다.
여기에 선택적으로 목소리를 입히거나(음성 기능), 그림을 볼 수 있는 눈(비전 기능)을 달아줄 수도 있어요. 이렇게 되면 AI가 우리와 정말로 대화하고 소통하는 느낌을 주겠죠?
🎁 4단계: 진짜 ‘제품’으로 포장하고 시험보기
자, 이제 거의 다 왔어요! AI가 만든 결과물을 사람들이 보기 좋게 다듬어서 전달해야 해요. 보고서라면 PDF 파일로 깔끔하게 정리해주는 거죠.
그리고 가장 중요한 단계! 바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만드는 거예요. 아무리 성능 좋은 자동차 엔진도 멋진 외관과 핸들이 없으면 탈 수 없잖아요? UI는 AI의 능력을 사용자가 쉽게 쓸 수 있게 해주는 ‘얼굴’이자 ‘조종 장치’인 셈이에요.
마지막으로, 우리 AI가 일을 잘하는지 꾸준히 평가하고 관리해야 해요. 여러 가지 테스트를 해보면서 실수는 없는지, 더 개선할 점은 없는지 계속 확인하는 거죠. 그래야 믿고 쓸 수 있는 훌륭한 AI 제품이 되는 거랍니다!
오늘의 정리
첫째, AI를 만들기 전에는 명확한 역할과 목표, 그리고 소통 규칙을 정해야 해요. 둘째, AI가 스스로 생각하고, 도구를 사용하고, 과거를 기억하게 만들어줘야 똑똑해져요. 셋째, 보기 좋은 UI를 입히고 꾸준한 테스트를 거쳐야 비로소 진짜 ‘제품’이 될 수 있어요.
오늘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주변에서 사용하는 AI 챗봇이 어떤 목표를 가지고 만들어졌을지 한번 생각해보는 건 어떨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