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타 저스틴의 클로드 데스크탑 – 03. 데스크톱 확장 프로그램(DXT) – 원클릭 MCP 서버 설치

1. Claude 데스크톱 확장 프로그램(DXT)의 등장: AI 시대의 게임 체인저! 

DXT는 한마디로 “압축된 MCP(Model Context Protocol)“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MCP는 Model Context Protocol의 약자로, AI와 외부 시스템이 소통하는 방법을 정의하는 약속 같은 건데요. 이 MCP를 설치하는 과정을 DXT가 마치 하나의 소프트웨어 설치 파일처럼 만들어준다는 거죠.

2. 이전 방식과 새로운 방식: JSON 지옥에서 벗어나 한 줄기 빛을 찾다!

A. 옛날 옛적, JSON 수동 편집의 고통

예전에는 Claude 데스크톱에 MCP를 설치하려면 개발자 설정으로 들어가서 Claude 데스크톱의 설정 JSON 파일을 직접 수정해야 했습니다. 서버 정보와 명령어들을 JSON 파일에 일일이 붙여넣어야 했죠. 유튜버도 “매끄러운 과정이 아니었다”, “정말 쉬웠던 적이 없었다”라고 회상할 만큼 번거롭고 어려운 작업이었습니다. 개발자조차도 혀를 내두를 정도였으니, 우리 같은 초보자들은 오죽했겠어요?

B. 신세계 개막! ‘확장 프로그램(Extensions)’ 탭의 등장! 하지만 이제 걱정 마세요! Claude 데스크톱이 업데이트되면서 설정에 새로운 ‘확장 프로그램(Extensions)’ 탭이 생겼습니다. 이 탭을 통해 훨씬 직관적이고 간단하게 MCP를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된 거죠. 혹시 이 탭이 보이지 않는다면, Claude 데스크톱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만 해주시면 됩니다!

3. 나만의 DXT 파일 만들기: MCP를 마법의 꾸러미로!

그렇다면 우리가 직접 만든 MCP를 DXT 파일로 만들 수는 없을까요? 당연히 있죠!

DXT 파일의 특징:

  • 매니페스트(Manifest): 크롬 확장 프로그램처럼 확장 프로그램의 정보를 담는 파일입니다.
  • package.json: 노드(Node.js) 프로젝트의 정보를 담는 파일이죠.
  • 아이콘(Icon): 시각적으로 구별하기 쉽게 아이콘도 포함됩니다.
  • 자기 완결성(Self-contained): DXT 파일은 필요한 모든 의존성(예: node_modules)을 함께 포함하고 있어서, 별도의 설치 과정 없이 혼자서 완벽하게 작동할 수 있는 “자기 완결적인 MCP”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마치 모든 재료가 들어있는 밀키트처럼 말이죠!

DXT 파일 만드는 법: 터미널에서 npm install -g anthropic-ai/dxt 명령어로 DXT CLI(Command Line Interface) 도구를 전역으로 설치합니다. 그리고 준비된 MCP 폴더에서 dxt pack 명령어를 실행하면, 마법처럼 .dxt 파일이 생성됩니다. 이 과정을 통해 우리의 MCP가 간편하게 설치 가능한 DXT 꾸러미로 변신하는 거죠.

4. 클릭 한 번으로 나만의 DXT 설치하기: 이제는 나도 AI 마스터!

이렇게 만들어진 .dxt 파일은 설치가 정말 간편합니다. .dxt 파일을 더블클릭하기만 하면 Claude 데스크톱에서 바로 설치할 준비가 완료됩니다. 단 한 번의 클릭으로 설치가 끝나고, ‘확장 프로그램’ 탭에 새로운 기능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설치된 확장 프로그램은 다른 MCP처럼 시스템 프롬프트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5. Claude의 시스템 프롬프트로 DXT 만들기: AI가 AI를 만들다!

유튜버는 Claude의 시스템 프롬프트를 활용하여 Claude 자신이 새로운 데스크톱 확장 프로그램의 코드와 지침을 직접 작성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6. MCP 설치의 세 가지 길: 당신의 선택은?

현재 Claude에서 MCP를 설치하는 세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JSON 구성 (구식 방법): Claude 설정의 개발자 옵션에서 JSON 파일을 수동으로 편집하는 방식입니다. 이제는 많이 번거롭고 비효율적인 방법이 되었죠.
  2. 확장 프로그램 탭 (새로운 방법): 오늘 우리가 집중적으로 알아본 DXT 파일을 설치하거나, unpacked 방식으로 폴더를 직접 로드하는 방식입니다. 가장 편리하고 직관적인 방법입니다.
  3. 통합(Integrations): 이 방법은 특히 ‘원격 MCP’를 위한 것입니다. 원격에 있는 MCP 서버의 HTTP 링크를 통해 연결하여 설치하는 방식이죠.

 

 

 

 

About the Author
(주)뉴테크프라임 대표 김현남입니다. 저에 대해 좀 더 알기를 원하시는 분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세요. http://www.umlcert.com/kimhn/

Leave a Reply

*